주식회사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다계층 인증SW (BaroPAM) 전문기업.

우회접속 11

Windows와 Linux, 운영체제의 취약점

Windows와 Linux 운영체제의 취약점은 IT 공급망에서 가장 심각한 위협 중 하나로 꼽힌다. 이러한 운영체제는 공장 설비, 물류 시스템,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다. 만약 주요 취약점이 발견되어 악용된다면, 전 산업에 심각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기업들에게 운영체제 보안을 철저히 점검하고 정기적인 패치 관리, 2차 인증(추가 인증) 적용, 최소권한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주요 인프라 공격의 85%가 이 기본적인 수준의 보안을 지키지 않아서 발생한다.특히, 랜섬웨어를 포함한 침해 사고의 80~90%가 원격 접속과 관련하여 발생한다. 그러므로 보안전략 중 도입해야 할 1순위는 우회 및 원격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2차 인증 솔루션이다. "공격자들은 딱 한 번만 성공하면 된..

2차 인증 도입의 필요성 및 도입 시 검토사항

요즘 들어, 하루가 멀다 하고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이 때를 가르지 않고 밤낮없이 발생하고 있다. 방심한 사이를 틈타 눈 깜짝할 사이에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소중한 개인정보를 탈취해 간다. 더욱이 사이버 범죄자들은 날이 갈수록 체계적이고 지능화되어 조직화되는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으며, 느슨한 구성에서 시작해서 더 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엇 보다도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1. 도입의 필요성 "정보자산의 로그인-ID/비밀번호가 유출이 되어도 대안이 있느냐?" 첫번째,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ㆍ인증을 위한 OTP 등을 활용한 2단계 인증 체계 적용2차 인증(..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한 2차 인증 구분 및 특징

2차 인증은 별도의 인증서버가 필요한 Hard 방식의 1st 인증 (1세대 인증) 와 별도의 인증서버가 존재하지 않아 관리가 필요 없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방식(jar, so, dll 등의 인증모듈 호출)의 2nd 인증 (2세대 인증)로 구분한다. 1st 인증(Hard 인증) ▶인증서버 방식(SHA-I), Gateway(+Proxy) 방식, 통합인증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모델 불가 ▶토큰, 카드 위주(인증키 생성기) ▶개인별 HMac Key 발급 및 관리 ▶정적 HMac Key 방식 ▶일괄 인증키 생성주기(30, 60초) 적용 ▶비영구적 사용 / 추가 비용 발생 ▶2차 인증(추가 인증) ▶고가, 제한적 적용, 관리가 복잡하고 운영비용 증가 ▶사용자 정보 동기화 필요 ..

카테고리 없음 2024.05.12

간편성과 편리성만 내세우면 보안은 그만큼 허술하며, 이로 인한 댓가는 매우 혹독할 것

간편성과 편리성만 내세우면 보안은 그만큼 허술하며, 이로 인한 댓가는 매우 혹독할 것이다. 이젠 보안에 대한 인식을 하루 빨리 바뀌어야 한다. 아직도 보안에 취약한 이런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는 현실이 안타깝다.▶2차 인증 중 해커들의 가장 좋아하는 적용 방식: Gateway(+Proxy) 방식▶2차 인증 중 가장 취약한 인증 방식: SMS, 이메일 등 문자기반의 인증▶2차 인증 중 해커들이 가장 애용하는 우회 기술과 피로공격에 취약한 인증 방식: 2 채널 인증▶피싱 공격에 잘 속는 링크 방식: QR 코드 방식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기본 사항이다.▶보안 관점에서 위험을 얼마나 분산 시킬 것인지? ▶인증 절차 시 데이터 위변조를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계정 정보 도용 및 악용은 어떻게..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다.

강력한 보안을 위해서는 2,3 단계의 과정을 더 거치게 되기 때문에 번거롭고 복잡하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안과정이 해킹이나 정보 유출로부터 자신의 정보를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다.  그래서 "최신 기술"들은 복잡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조금 더 간단하고 쉬우면서도 안전하게 개인의 정보를 지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으며, 느슨한 구성으로 시작해서 더 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간편성과 편리성을 내세우면 보안은 그만큼 허술하며 그 댓가는 혹독할 것이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엇 보다도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무엇보다도 2차 인증(추가 인증)에 사용되..

[디지털문서 인사이트]디지털시대 정보시스템 보안 및 인증 수단

대부분 기업에서 업무를 위한 정보시스템을 사용해 각종 업무를 디지털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시스템 로그인 때 다양한 보안 절차를 구비, 인증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해커에 의한 시스템 침입이나 개인정보 유출도 비일비재,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시스템이 고도화됨에 따라 보안 및 인증 수단도 발전하고 있지만 해킹 기술도 발전하고 있어 보안 시스템 담당자 고민은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이러한 정보시스템 로그인 때 사용되는 인증수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보통의 정보시스템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접근통제가 이뤄지고 있는 데 별도의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두는 방식을 2차 인증 방식이라고 한다. 이중 게이트웨이-프록시 방식이나, SMS 또는 이메일 등 문자기반 인증방식은 해커 ..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한 2차 인증이란?

요즘 들어, 하루가 멀다 하고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이 때를 가르지 않고 밤낮없이 발생하고 있다. 방심한 사이를 틈타 눈 깜짝할 사이에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소중한 개인정보를 탈취해 간다. 더욱이 사이버 범죄자들은 날이 갈수록 체계적이고 지능화되어 조직화되는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으며, 느슨한 구성에서 시작해서 더 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엇 보다도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무엇 보다도 다양한 운영체계나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 시 로그인-ID 및 비밀번호 이외에 별도의 추가인증 절차가 필요한데, 이를 2차 인증(추가 인증)이라 일컷는다. ..

무엇 보다도 2차 인증을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곳은 바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운영되는 운영체제(OS)가 가장 기본

요즘들어, 하루가 다르게 사이버 공격이 밤낮없이 발생하고 있다.방심한 사이를 틈타 눈 깜짝할 사이에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소중한 개인정보를 탈취해 간다.더욱이 사이버 범죄자들은 날이 갈수록 체계적이고 지능화되어 조직화되는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다.간단(느슨)한 구성에서 시작해 더 복잡(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엇 보다도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무엇 보다도 2차 인증(추가 인증)을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곳은 바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운영되는 Windows, Mac, Linux/Unix 계열의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

망분리로 인한 보안이 강화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지금은 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대

"망분리" 했다고 해커들의 침투를 100% 막을 수 없다는 걸 인정해야만 하는 때가 도래했다. 이 시대에는 피해를 줄이는 게 보안의 가장 큰 임무였다.   이게 어디까지 갔냐면, "사이버 공격자들이 이미 네트워크에 들어와 있는 걸 상정하고 보안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가 보안의 명제가 됐다. (내부망/외부망)망분리로 인한 보안이 강화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지금은 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대이다. 국내 망분리 사업 최초 설계 시 일부 참여한 사람이 남긴 내용) 나는 망분리로 인해 보안이 강화된다는 말에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망분리는 MB 때 기업, 기관의 내수촉진 차원에서 추진된 사업이다. 당시 전산 시스템을 2배로 뻥튀기 시켜 돈을 쓰게 만드는 명분에 불과했었다. 국내 망분리 사업 최..

삼성, LG, MS 공격한 랩서스 해킹조직에 대한 대응방안 및 보안전략

기업 및 개인의 정보 유출에 대한 해킹 피해보도는 잊혀질 만 하면 계속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해킹에 안전한 다중 인증(MFA)을 사용하여 대응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이 서버, PC,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등에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한 다중 인증 솔루션을 도입한 이유이기도 하다.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어느 한 구간만 보안 강화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는 모든 정보자산에 대한 다중 인증 솔루션의 적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보다 더 안전하게 정보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2차 인증(추가 인증) 설정 시 타인에게 ID와 비밀번호 노출돼도 계정 접근 불가능" 타인이 로그인을 시도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