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3단계 인증 보안SW 및 지문인식 OTP/출입/보안카드 전문기업

피로공격 5

누리아이티, 일성정보와 제휴로 日 인증 시장 진출

OS·앱에 쉽게 플러그인하는 3단계 인증 솔루션 '바로팸(BaroPAM)' 공급 [데이터넷] 누리아이티는 일본 일성정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3단계 인증 솔루션 '바로팸(BaroPAM)'으로 일본 시장에 진출한다고 19일 밝혔다. 바로팸(BaroPAM)은 2차 인증(추가 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에 플러그인 할 수 있는 인증 모듈을 적용했다. 생체인식 적용 3단계 인증을 지원하며, 인증서버나 DB 등 추가 도입해야 할 장비가 없다. 바로팸(BaroPAM)은 3단계 인증 체계를 구현한다. 지식기반 인증(ID/비밀번호), 소유기반 인증(일회용 인증키)에 지문·안면 등 생체인식을 이용하는 속성기반 인증을 추가할 수 있다. 이종일 누리아이티 대표는 "날로 지능화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

비밀번호를 매번 사용할 때마다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휘발성 같은 동적보안 솔루션으로 대체 했을 때 이점

사이버 보안이 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만큼 정보 보안 산업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미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최근 발표한 비밀번호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이 온라인 해킹 침해를 결코 막지 못한다고 한다.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은 약한 비밀번호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수십 개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서 결국 어디엔 가는 써 놓게 된다는 것이다. NIST는 비밀번호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비밀번호를 특수문자를 포함한 여러 문자로 조합하고 일정 기간마다 바꾸도록 하라는 강제요건을 삭제했다. Microsoft가 기업의 보안 관리자에게 권장하는 내용(보안기준)은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이 보안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상..

기억할 필요가 없는 비밀번호를 위한 BaroPAM 솔루션의 API 가이드(asp.net, asp 환경에서 BaroPAM Java 모듈 연동)

목차 1. 일회용 인증키(One Time Authentication key) 1.1 일회용 인증키 개요 1.2 인증키 생성 및 인식 방식 1.3 인증키 전달 방식 1.4 메시지 인증코드 2. BaroPAM 연동 API 2.1 연동 API 구성 2.2 연동 API 함수 2.3 인증키 검증 부분 3. BaroPAM 적용 3.1 BaroPAM 적용 프로세스 3.2 BaroPAM 적용 화면 3.3 본인확인 적용 프로세스 3.4 본인확인 적용 화면 3.5 BaroPAM 웹 설치 및 정보 설정 4. NTP(Network Time Protocol) 설정 4.1 Windows 환경 5. About BaroPAM 1. 일회용 인증키(One Time Authentication key) 1.1 일회용 인증키 개요 전자거래 ..

[데이터넷]누리아이티, 인증 모듈 ‘바로PAM’에 2차 인증 기능 추가

기존 WAS 계정 비밀번호에 일회용 인증키 덧붙여…계정 정보 유출돼도 ‘안심’ ▲ 톰캣 콘솔 로그인 화면 [데이터넷] 누리아이티(대표 이종일)는 아이리스인포테크(대표 조광희)와 협력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의 콘솔 로그인 시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고자 사용자 식별·인증을 위해 2차 인증을 추가한 플러그인 가능한 인증 모듈 ‘바로PAM(BaroPAM)’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제품은 정보자산 보안 강화를 위해 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인증 솔루션이다. 웹로직(Weblogic), 제우스(JEUS), 톰캣(Tomcat) 등과 같은 WAS 콘솔의 포트 및 로그인 계정 정보는 중요한데, 대부분의 기업에서 설치 시 설정한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Windows용 BaroPAM 설치 후 로그온 시 로그온 화면이 나타나지 않고 오작동되는 현상 발생

현상: Windows용 BaroPAM 설치 후 로그온 시 로그온 화면이 나타나지 않고 오작동되는 현상 발생. 원인: "컴퓨터 이름" 또는 "PC의 이름"은 한글이 포함되어 있어서 발생. 조치: "탐색기 -> 내 PC ->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속성"을 클릭하여 "컴퓨터 이름" 또는 "PC의 이름"은 한글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반드시 "영문자, 하이픈, 숫자를 조합해서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