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다계층 인증SW (BaroPAM) 전문기업.

▶ BaroSolution/기술문서 207

중앙 집중식에서 벗어나 탈중앙화의 중요성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인증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은 우리가 많이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Gateway(+Proxy) 방식은 접속하기 위한 통로를 별도로 설치한 후 사용자가 해당 통로를 통해서만 접근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에 진입하기 위해서 반드시 톨게이트를 거쳐 통행료 징수를 위한 체크를 하듯이 서버나 네트워크, DB에 접속, 로그인하거나 로그인 한 후에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Gateway를 거치도록 구성하여 모든 로그인과 철저하게 통제하는 방식이다. 중앙 집중식으로 중앙화 되어 있는 Gateway(+Proxy) 방식은 별도의 서버(안전성을 위해 이중화 구성 필요)를 설치한 후에 독립적인 IP 및 포트를 부여하고, 접속 시 해당 IP ..

원격 코드 실행(RCE, Remote Code Execution)이란?

원격 코드 실행(RCE, Remote Code Execution) 공격은 공격자가 조직의 컴퓨터나 네트워크에서 악성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공격이다. 공격자가 제어하는 코드를 실행하는 기능은 추가 맬웨어를 배포하거나 중요한 데이터를 탈취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1. 원격 코드 실행(RCE) 공격의 작동 방식 원격 코드 실행 공격은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인프라의 취약점을 통해 발생한다.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은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서 악성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이다. 다음 예를 포함하여 여러 유형의 취약점을 RCE에 사용할 수 있다. 1) 삽입 취약점 SQL 삽입 또는 명령어 삽입과 같은 삽입 취약점은 잘못된 입력 삭제에 의해 활성화된다..

Windows/Linux 환경의 침해 사고에 대한 흐름도 및 차단 사례

"기본 보안부터 철저히 해야" 현재의 보안체계로는 정보자산을 충분히 지킬 수 없다는 거, 보안 전문가라면 다 알고 있다. 주요 인프라 공격의 85%가 "패치, 2차 인증(추가 인증), 최소 권한 원칙" 등 기본적인 수준의 보안을 지키지 않아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랜섬웨어를 포함한 침해 사고의 80~90%가 원격 접속과 관련된 문제다. 보안 솔루션 중 도입해야 할 1순위가 우회 및 원격접속을 차단할 수 있는 2차 인증 솔루션이다. 기본 보안 정책만 지켜도 대부분의 공격은 막을 수 있다. 또한, "망분리"는 새로울 것도, 특별할 것도 없는 보안 전략이자 개념이다. "망분리" 했다고 해커들의 침투를 100% 막을 수 없다는 걸 인정해야만 하는 때가 도래했다. 이 시대에는 피해를 줄이는 게..

다계층 인증 체계는 시스템의 보안 위험을 줄이고, 단일 지점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시스템의 다양한 레이어(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저장장치 등)에서 독립된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보안 위험을 분산하고 단일 지점 공격을 방지하는 보안 전략이다.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각 레이어별로 독립적인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더욱 강력한 보안을 구축할 수 있다. 1. 다계층 인증의 장점 1) 보안 강화 각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시스템 전체의 보안을 강화하고, 단일 지점 공격에 대한 위험을 줄인다. 2) 위험 분산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의 단점인 한 곳에 집중된 위험을 분산시켜, 시스템 전체의 보안을 더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유연성 각 레이어별로 다양한 인증 방식을..

챗GPT 학습에 8자리 숫자 비밀번호 3시간 만에 뚫는다

비밀번호 보안에 소홀한 사용자에게는 좋지 않은 소식이다. 해커는 사용자가 무심코 설정한 가장 단순하고 무작위적인 비밀번호를 영화 한 편 보는 시간 안에 알아낼 수 있다. 최근 분석에 따르면, 챗GPT 서비스를 활용해 8자리 숫자 조합 비밀번호를 무차별 대입 공격으로 해킹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단 3시간에 불과하다. 현재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는 8자리 비밀번호를 최소 기준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단순한 숫자 조합의 8자리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해킹 위험성이 매우 높다. 비밀번호의 복잡도를 높이면 해킹에 소요되는 시간이 몇 시간에서 몇 달, 수년, 심지어 수천 년으로 대폭 늘어나긴 한다. 그러나 이 역시 위협에서 완전히 안전하다고 할 수는 없다. 숫자로만 구성된 8자리 비밀번호는 사실상 즉시 해킹 당할 ..

현재의 보안 체계로는 이젠 침해사고를 막을 수 없다

외부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나, 우리의 보안의식은 아직 십년 전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보안 모듈이나 보안 에이전트를 서버에 설치하면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으로 서버에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반발을 넘어서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보안 체계로는 이젠 침해사고를 막을 수 없으며, 보안 체계의 대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중앙 집중화 방식에서 벗어나 보안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탈중앙화 방식의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경계보안에서 제로트러스트 보안으로 보안모델의 변화 2. 공격 표면으로 보안 취약점을 약용한 공격 3. 보안 위험의 최소화하기 위한 보안의 위험 분산 필요 4. 중앙집중식에서 벗어나 탈..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의 필요성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이 아닌 각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시스템의 보안 위험을 분산시키는 방어 방식이다. 예를 들어 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타베이스, 저장장치 등 각 계층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쳐 사용자 접근을 통제함으로써 단일 지점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줄이고 시스템 보안을 강화한다. 다계층 인증 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탈중앙화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에서 벗어나 각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보안 위험을 분산시킨다. 2. 심층 방어 각 레이어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치므로, 하나의 레이어에서 보안이 뚫리더라도 다른 레이어에서 추가적으로 인증을 거쳐 ..

제로 트러스트 모델과 다계층 인증 체계와의 관계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중앙 집중화 방식에서 벗어나 탈중화화 방식으로 보안의 위험을 분산시켜 단일 지점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각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는 보안 방식이다. 즉, 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저장장치 등 각 단계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접근 권한을 얻을 수 있다. 1. 다계층 인증 체계의 주요 특징1) 단일 지점 공격 방지한 곳이 공격당하더라도 다른 레이어의 인증 체계가 시스템을 보호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인다. 2) 더 강력한 보안여러 계층의 인증을 거쳐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인증 방식보다 보안 수준이 높다. 3) 최소 권한 원칙사용자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 ..

기존 보안 솔루션으로는 이젠 막을 수 없다.

'51초' 만에 탈탈 털어가는 사이버 공격…보안 골든 타임도 이제 '초 단위' 공격자가 초기 침투 후 수평이동을 하기까지 걸린 시간(Breakout time)이 평균 48분으로 2024년 조사 62분에서 14분이나 줄어들었다. 가장 짧은 브레이크아웃 타임은 51초였다. 공격자는 정상적인 계정과 도구, 시스템을 이용해 보안 탐지를 우회하면서 성공적으로 침해한다. 특히 유효한 자격증명을 이용하는 공격이 전체 탐지된 공격의 절반에 이르렀다. 가트너(Gartner)는 AI 에이전트가 자동화된 범죄 활동을 통해 2027년까지 사용자 계정 탈취(ATO) 시간을 50% 줄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기업과 개인의 보안 대응이 더욱 시급해질 것으로 보인다. 제레미 드호인(Jeremy D'Hoinne) 가트너 부사..

다계층 인증 체계를 도입해야 하는 이유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중앙집중식에서 벗어나 탈중앙화로 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 등 각 레이어에 인증 시스템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방식으로, 단일 지점 공격에 취약점을 줄여 준다. 다계층 인증 체계(Mu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란?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에서 벗어나 탈중앙화로, 시스템의 각 레이어에 인증 시스템을 분산 적용하는 방식이다. 어떤 레이어에 적용되나요? 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저장장치 등 다양한 레이어에 적용될 수 있다. 어떤 이점이 있나요? 중앙집중식에서 벗어나 탈중앙화로 단일 지점 공격(single point of f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