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mboot” option 중에서
$ tmboot -A -> BBL 만 booting
참고로 MP mode에서 DBBL, BBL만 booting 시킬려면
$ tmboot -M -> Master의 DBBL, BBL만 booting
$ tmboot -B Slave_LMID -> Slave의 BBL만 booting
$ tmboot -T GROUP명 -> TMS 만 booting
$ tmboot -s SERVER명 -> 해당 server만 booting
$ tmboot -i SERVER_ID -> server_id에 해당되는 server만 booting
$ tmboot -y -> 모든 server들(DBBL, BBL, AP servers)을 booting시키는 것으로,
한 server가 booting OK 신호를 받아야만 다음 server를 booting.
$ tmboot -w -> AP server들을 booting시킬때 booting OK 신호를 받지않고(No waiting)
다음 server들을 booting 시키므로 booting 시간이 감소됨.
(DBBL, BBL등은 이 option에서도 booting OK 신호를 받음)
2. Runtime Tracing 기능.
1) 환경변수를 이용하는 방법 (“setenvfile, ENVFILE” 변경)
$ vi setenvfile (ENVFILE)
· 모든 TUXEDO 함수( ATMI call)를 trace 할 때
TMTRACE=on export TMTRACE <- trace on
TMTRACE=off export TMTRACE <- trace off
· ATMI call을 제한하여 trace 할 때
TMTRACE=category:receiver_spec:trigger_spec export TMTRACE
- category는 atmi 혹은 trace를 입력.
atmi는 ATMI call이고, trace는 trace 그 자체
- receiver_spec은 trace record를 수신하는 entry로서,
/tpcall/ulog 혹은 /tpservice/ulog를 입력 -> 결과는 “ULOG.*” 화일에 저장.
- trigger_spec은 event -> action 수행.
event는 tpreturn등을 의미하며,
action은 abort -> core dump
trace -> reset trace
dye, undye
sleep등
예) TMTRACE=atmi:/tpcall/ulog:/tpreturn/abort export TMTRACE
TMTRACE=atmi:/tpservice/ulog:dye export TMTRACE
2) “tmadmin” command를 이용하는 방법
$ tmadmin
> changetrace(chtr) -m SITE off 혹은 > chtr -g GROUP명 off
> chtr -g GROUP명 on 혹은 > chtr -g GROUP명 -i SVR_ID “atmi:/tpcall/ulog:dye”
(여기서 -g 없이 -i 만 사용할 수 없음)
> q
$ 실행화일을 수행시키면 trace 결과가 “ULOG.*” 화일에 write 됨.
실행한 후에 trace off 시킬려면
$ tmadmin
> chtr -g GROUP명 off
3. on-line상에서 dynamic하게 새로운 server를 들록하고자 할 때.
q tmconfig 혹은 tmadmin에서 config를 이용하여 수행.
1) 환경변수 EDITOR를 setting.
$ EDITOR=vi export EDITOR
2) tmconfig 혹은 tmadmin상에서 config를 typing.
$ tmconfig 혹은
$ tmadmin -> config
3)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타나면 “4”를 입력하여 server를 선택.
Section: 1) RESOURCES, 2) MACHINES, 3) GROUPS, 4) SERVERS,
5) SERVICES, 6) NETWORK, 7) ROUTING, 8) QUIT [1] : _
4) server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operation 항목을 선택하는 메세지가 출력된다.
Operation: 1) FIRST, 2) NEXT, 3) RETRIEVE, 4) ADD, 5) UPDATE,
6) CLEAR BUFFER, 7) QUIT [1]: _
5) Operation 항목중 “3”을 선택하면
“Perform operation [y] ? _” 라는 메세지가 출력되어 “y”를 입력하면
“ubb*” 화일의 *SERVERS section에서 정의한 값들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화면에
출력되며, temporary buffer에 저장된다. (4.2.2 버젼에서는 “3”을 선택하면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1”을 선택하여 수행한다).
o o o <- parameter 앞에는 항상 “TA_” 가 붙는다.
TA_SVRID 1
TA_SERVERNAME SVR명
TA_SVRGRP GRP1
o o o
6) Retrieval한 결과를 buffer에 저장한 후에 앞의 3단계를 수행하고, 4단계에서 “4”를
입력하면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출력된다.
Enter editor to add/modify fields [n] : _
7) 설정된 환경변수 EDITOR(vi) 를 사용하기 위하여 6단계에서 “y”를 입력한다.
8) “y”를 입력하면 5단계에서 buffer에 저장된 내용이 “vi” 화면이 나타난다.
edito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새로운 server를 등록한다.
o o o
TA_SVRID 10
TA_SERVERNAME XXX (새로운 SVR명이 “XXX” 이면)
TA_SVRGRP GRP1
o o o
9) 화면에서 :wq로 exit 한후에 “Perform operation [y] ? _” 라는 메세지가 출력되고
“y”를 입력하면 3단계의 메세지가 출력된다.
10) 3단계의 메세지에 “8”(QUIT)를 입력하면 “tuxconfig”라는 binary file상에 새로운
server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다. 이 결과를 ASCII 화일로 backup할 것인지 물어보는
메세지가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Unload TUXCONFIG file into ASCII backup [y] : _
11) “y”를 입력하면 새로운 화일명으로 ASCII 형태의 화일로 backup 되고
(“ubbconf.back”), “n”를 입력하면 backup 되지않음.
12) “tuxconfig” 화일에 새로운 server가 등록되었기 때문에 tmboot라는 comman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booting 시켜야 한다.
$ tmboot -s XXX 혹은 $ tmboot -I 10
<- 새로운 server : SVR명=XXX, SVRID=10
q Script를 이용하여 수행.
1) 환경변수 설정
FIELDTBLS32=Usysfl32,tpadm,tm_mib export FIELDTBLS32
FLDTBLDIR32=${TUXDIR}/udataobj:${APPDIR} export FLDTBLDIR32
2) Script 작성
ud32 -C tpsysadm -U tuxedo << !
n
SRVCNM \t _TMIB_TM_SET
TA_OPERATION \t SET
TA_STATE \t NEW
TA_CLASS \t T_SERVER
TA_SERVERNAME \t SVR명
TA_SRVID \t SVR_ID값
TA_CLOPT \t -A -r
TA_SRVGRP \t GROUP1
\n
!
q 동적 재구성시 제약점 및 고려사항 명시
· ROUTING 섹션은 Update 못함.
· 등록된 항목은 지울 수 없음
· 각 섹션의 Key Field를 바꿀수는 없고, 새로운 값으로 새로운 엔트리를
· 등록하여 사용가능.
· Server Process가 Booting되어 있으면, 해당 Server가 속한 Ggoup 혹은
· Machine의 Parameter는 변경할 수 없음.
· Server Process나 Service의 Parameter들은 Update 가능하나, 해당 Server
· Process를 다시 Booting 할때 비로소 Update 한 값이 반영됨.
4. Raw device를 이용하여 TLOG, tuxconfig 화일을 한 화일로 생성시키고자 할 경우
q tuxconfig 화일을 생성한다.
q tuxconfig 화일 뒤에 TLOG 화일을 Append 시킨다. 이때 livtoc(list volumn table of contents)을 확인하여 offset 계산.
-> $ crdl -b BLOCK_SIZE -o OFFSET -z ${TLOGDEVICE}
BLOCK_SIZE 산출
- TLOG의 BLOCK_SIZE는 MAXGTT의 Size와 관련.
- MAXGTT=100 이면 TLOG의 BLOCK_SIZE=MAXGTT+35
(35 Block은 VTOC+UDL(Universial Device List)의 값임)
q UBBCONFIG 화일의 *MACHINE 섹션에서 TLOGSIZE=MAXGTT 설정.
5. UBBCONFIG 화일의 *MACHINE 섹션에서 TLOGSIZE=MAXGTT로 설정.
이때 “crtlog”에서 Block size는 TLOGSIZE+35 이상으로 설정하여야 함.
'▶ Tuxedo >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xedo 설치를 위한 Kernel Parameter Setting (0) | 2013.04.04 |
---|---|
Tuxedo 서비스의 DB 인터페이스 (0) | 2013.04.04 |
“TMADMIN”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 (0) | 2012.03.16 |
Tuxedo 시스템에서 서비스 타임 아웃 설정 (0) | 2012.03.16 |
TUXEDO 시스템 에서의 서비스 타임 아웃 설정 방법 (0) | 2012.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