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는 시스템의 다양한 레이어(PC, 서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저장장치 등)에서 독립된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보안 위험을 분산하고 단일 지점 공격을 방지하는 보안 전략이다.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각 레이어별로 독립적인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더욱 강력한 보안을 구축할 수 있다.
1. 다계층 인증의 장점
1) 보안 강화
각 레이어별로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시스템 전체의 보안을 강화하고, 단일 지점 공격에 대한 위험을 줄인다.
2) 위험 분산
중앙 집중식 인증 방식의 단점인 한 곳에 집중된 위험을 분산시켜, 시스템 전체의 보안을 더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유연성
각 레이어별로 다양한 인증 방식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특성에 맞춰 최적의 보안 설정을 구축할 수 있다.
2. 다계층 인증의 예시
1) 서버 접속
사용자 인증 (ID/PW), 네트워크 인증 (IP 주소), 애플리케이션 인증 (토큰) 등을 통해 서버에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2) 네트워크 접근
네트워크 장비의 인증, 방화벽 규칙, 침입 탐지 시스템 등을 통해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한다.
3) DB 접근
사용자 인증, DB 서버 인증, DB 접근 제어 등을 통해 DB에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3. 다계층 인증의 필요성
IT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각 레이어별로 독립적인 인증 체계를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주식회사 누리아이티에 따르면, 다계층 인증 체계는 시스템의 보안 위험을 줄이고, 단일 지점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다.
'▶ BaroSolution > 기술문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코드 실행(RCE, Remote Code Execution)이란? (0) | 2025.05.18 |
---|---|
Windows/Linux 환경의 침해 사고에 대한 흐름도 및 차단 사례 (0) | 2025.05.17 |
챗GPT 학습에 8자리 숫자 비밀번호 3시간 만에 뚫는다 (0) | 2025.05.14 |
현재의 보안 체계로는 이젠 침해사고를 막을 수 없다 (0) | 2025.05.04 |
다계층 인증 체계(Multi-layer authentication system)의 필요성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