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Wall을 위한 Tuxedo 구성 이슈 : FireWall을 위한 Tuxedo 구성 FireWall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의 전송을 제한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방지하는 일을 한다. FireWall은 크게 지정된 포트를 통한 데이터 전송 만을 걸러주는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방식과 외부에서 들어오는 패킷을 검사하여 허가된 패킷을 마치 자신.. ▶ Tuxedo/이슈 2010.05.02
TIME_WAIT 상태시간 줄이기 이슈 : TIME_WAIT 상태시간 줄이기 TIME_WAIT 상태는 정상적인 종료 과정에서 거??되는 과정으로 마지막 ACK 신호를 잃어 버린 경우에 재 전송하기 위한 상태이다. Client/Server 환경에서는 주로 Connection-Oriented 형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 머무르는 소켓의 개수가 많지 않지만, Connectionless 형식을 사용.. ▶ Tuxedo/이슈 2010.05.02
서버의 상태가 계속적으로 Cleaning 혹은 Restarting 상태로 남아 있음. 이슈 : 특정 서버가 비정상 종료된 상태에서 "tmadmin" 상의 "psr"에 의한 서버의 상태가 계속적으로 Cleaning 혹은 Restarting 상태로 남아 있음. 조치 : BB의 Cleaning/Restarting 상태는 BBL이 해당 서버의 비정상 종료를 감지하고, cleanupsrv/restartsrv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작업은 일반적으로 몇 초 내에 .. ▶ Tuxedo/이슈 2010.05.02
FML32 사용상의 주의점 이슈 : FML32 사용상의 주의점 1.보다 많은 Field number를 사용할 수 있고( < 33554431) 2.버퍼 크기의 제한을 덜 받는다.(최대 2GB) 조치 : FML32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Field number는 증가하지만, Data Dependent Routing을 위해 사용되는 필드의 Number는 반드시 8191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만일 특정 필드가 Da.. ▶ Tuxedo/이슈 2010.05.02
Caching된 Field table의 Reload 방법 이슈 : Caching된 Field table의 Reload 방법 FML 함수에서 사용되는 Field table은 보다 빠른 접근을 위해서 메모리 상에 Caching이 되게 된다. 따라서, AP가 떠 있는 상태에서 해당 파일의 내용을 변경 하더라도 바로 반영이 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Field table은 거의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 ▶ Tuxedo/이슈 2010.05.02
XA 서비스를 non-XA 모드로 호출할 때, etc. 1.XA 서비스를 non-XA 모드로 호출할 때 1) OPENINFO에 NoLocal=true가 설정되어 있을 때 - 일단 tpbegin()을 호출하지 않았기 때문에 Transaction Context가 아니라서 xa_start()는 호출되지 않는다. - 그런데, NoLocal=true가 설정되어 있으면 SQL 수행시 ORA-00155: cannot perform work outside of global transaction이 발생한다. - 따라서 SQL erro.. ▶ Tuxedo/이슈 2010.05.02
ULOG 에서 client process name 나오게 하기. 해당 client application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넣어서 client name을 알 수 있다. #include "userlog.h" ... char *proc_name; /* 전역변수로 선언 */ void main(int argc, char *argv[]) { … proc_name = "natsh"; userlog("client name : %s", proc_name); … … } //----------------- ULOG 내용. 110356.koguryo!natsh.16245.1.0: 09-06-2007: Tuxedo Version 9.1, 64-bit 110356.koguryo.. ▶ Tuxedo/팁 2010.05.02
TUXEDO에서의 제약사항 1) Field의 Type : char, string, short, long, float, double, carray의 7가지 -> 프로그램에 "int" 타입이 있는 경우, FML Field의 Type은 2 Byte 일 때는 "short", 4 Byte 일 때는 "long" 을 사용하도록 한다. 2) FML Field의 ID에서 1~100 까지는 TUXEDO 자체가 사용한다. FML(16bit)에서 사용가능한 ID의 범위 : 101 ~ 8191 FML32(32bit)에서 사용가능.. ▶ Tuxedo/팁 2010.05.02
Tuxedo 큐잉 현상 1) request의 수에 비해서 서버의 개수가 모자란 경우 2) 서버 프로세스의 처리속도가 느리거나 해당 Process의 Hang up이 되었을 때 ▶ Tuxedo/팁 2010.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