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2차인증 보안SW 및 지문인식 OTP/출입/보안카드 전문기업

해킹 70

삼성, LG, MS 공격한 랩서스 해킹조직에 대한 대응방안 및 보안전략

기업 및 개인의 정보 유출에 대한 해킹 피해보도는 잊혀질 만 하면 계속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해킹에 안전한 다중 인증을 사용하여 대응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이 서버, PC,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등에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한 다중 인증 솔루션을 도입한 이유이기도 하다.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어느 한 구간만 보안 강화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제는 모든 정보자산에 대한 다중 인증 솔루션의 적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보다 더 안전하게 정보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2차 인증 설정 시 타인에게 ID와 비밀번호 노출돼도 계정 접근 불가능" 타인이 로그인을 시도했다는 것은 결국 ID와 비..

크리덴셜 스터핑, 클라우드 재킹, 멜웨어나 피싱, 스팸 메시지, 해킹, 사이버 공격 등으로 비밀번호가 유출되어도 로그인을 차단하는 방법

"스마트 워크, 재택근무(WFA), 모바일 가상화(VMI), MS Azure, 클리우드 환경 등에 보안강화를 위한 다중인증 체계 도입 절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들은 일반 기업들보다 더 강력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사용자들 사이에 존재한다. 보기에 따라 맞는 말일 수도, 틀린 말일 수도 있다. 분명한 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업들이라고 하더라도 완전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이제는 클라우드가 온라인 생활의 필수 요소가 되었다. 애플리케이션과 DB를 사용해서 하는 모든 일들이 이런 저런 방법으로 클라우드와 엮이게 되어 있다. 또한, 최근 DB가 설정 오류와 관리 부실로 고스란히 노출되는 사건이 너무나 많이 일어나고 있고, 이 때문에 다크웹에서는 추가 범죄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

[블록체인투데이]가상자산 해킹 원천 차단 보안 솔루션 '바로팜(BaroPAM)'

BaroPAM 솔루션은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해, 높은 국제표준Hash함수(모듈) 호출(휴대폰) 인증방식으로 인증서버와 통신이 필요 없는 시간동기화(Time-sync)방식의 일회성보안인증(OTA)서비스로 보안적합성과 안정성을 사전 검증하는 국정원 보안 적합성 검증절차를 통과하여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 받았다. 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에 손쉽게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가능한 인증 모듈(PAM,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 방식 기반 솔루션이다. ​ BaroPAM 솔루션은 통신을 필요로 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인증 서버가 필요 없는 방식이기 때문에 보안 지역에서 인증 서버와 통신할 수 없어..

Windows 환경에서 백신이 BaroPAM을 해제시키는 경우

현상 : Windows 환경에서 백신이 BaroPAM을 해제시키는 경우 원인 : BaroPAM 모듈이 설치되는 디렉토리를 숨김으로 설정(attrib +h +s "c:\baropam")하여 백신에서 연결된 파일이 없거나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항목으로 정리대상이 되어 검색되는 항목으로 인하여 발생. 조치 : BaroPAM 모듈이 설치되는 디렉토리를 숨김을 해제(attrib -h -s "c:\baropam")하면 해결됨.

공격자의 전략과 전술, 그리고 그 과정(TTPs, Tactics, Techniques, Procedures)과 다중인증 설정

지속적인 해킹 사고 발생으로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방어 시스템이 고도화되고는 있지만, 과거에 사용되었던 해킹 기술로도 여전히 공격이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아무리 준비를 많이 해도 공격에서 예외가 될 수 있는 부분은 없다. 공격자의 전략과 전술, 그리고 그 과정(TTPs, Tactics, Techniques, Procedures)는 다음과 같다. ① 최초 침투 공격자는 외부에 노출되어있는 사내 홈페이지를 통해 최초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후 특정 계정으로 로그인을 단번에 성공한 것으로 보아, 외부 노출 페이지와 계정정보를 기존에 미리 수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격자는 게시판에 존재하는 파일 업로드 취약점을 이용하여 웹셸을 업로드하고 이를 통해 서버를 제어한다. ② 접근 권한 수집 웹셸로..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다중인증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

"정보자산의 로그인-ID/비밀번호가 유출이 되어도 대안이 있느냐?" 1.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ㆍ인증을 위한 OTP 등을 활용한 2단계 인증체계 적용 가장 중용한 것은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인증을 위한 OTP 등을 활용한 2단계 인증체계를 설정"하는 것임. 2단계 인증은 정보자산에 로그인 시 아이디/비밀번호 외에 도 추가적인 인증(2차 인증) 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정 정보가 유출된 것만으로는 공격자는 이를 악용할 수 없음. 2차 인증 적용(예: ID/PW + OTP), 일정 횟수(예: 5회) 이상 인증 실패 시 접속 차단 및 인증수단을 특정하지는 않고 있으나, 지식기반.소유기반.특정기반 인증 수단 중 서로 다른 방식에 속하는 인증수단 2개를 조합해서 사용해야 함..

가장 쉽게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해킹, 악성 이메일 유형과 2단계 인증 로그인 대응법

악성 이메일은 고객센터, 지인, 사회이슈 등 사칭해 사용자 속이고 악성 행위 시도 2단계 인증(2차 인증, 추가인증) 로그인, 보안 소프트웨어 사용 및 주기적인 업데이트 등 기본 보안수칙 준수 필요 사이버 공격자는 개인의 PC나 기업 시스템에 침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다. 특히, 이메일을 이용한 방식은 사이버 공격자가 특별한 경로를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악성 이메일을 이용한 사이버공격은 목적과 형태 역시 다양하다. 단순히 첨부 파일이나 링크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것부터 시작해 특정 서비스를 사칭해 사용자의 ID/PW를 탈취하기도 한다. 특히 사회적 이슈를 이용해 악성 이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의심 없이 이를 열어보도록 하는 방식도 많이 쓰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

크리덴셜 스터핑에 당하지 않으려면 웹사이트와 앱에 다중인증의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적용해야 할 솔루션

크리덴셜 스터핑은 기존에 다른 곳에서 유출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여러 웹사이트나 앱에 대입해 로그인이 될 경우 개인정보나 자료를 유출하는 방법이다. 복잡한 것을 싫어하는 많은 사람들이 모든 웹사이트나 앱에서 같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노린 방법으로, 최근 본지가 보도한 대로 홈플러스나 스타벅스 등에서 크리덴셜 스터핑을 이용한 공격으로 실제 피해를 입은 사건이 늘고 있다. 글로벌 보안기업 아카마이에 따르면 2017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총 18개월 동안 금융 업계를 대상으로 일어난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35억 건에 달해 고객 개인정보와 금융정보가 위협에 노출됐다. 크리덴셜 스터핑에 당하지 않으려면 우선 사용하는 웹사이트나 앱마다 서로 다른 아이디와 패스워드..

보안강화를 위하여 정보자산 로그인 시 비밀번호에 대한 BaroPAM의 적용 방안

2013년 12월에 공지된 금융감독원의 전자금융감독규정을 보면, 제14조 9항 신설 “9. 정보처리시스템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계정으로 로그인(Log in)할 경우 계정 및 비밀번호 이외에 별도의 추가인증 절차를 의무적으로 시행할 것.” 군사저널 2018. 4, vol 145 정보자산 접속 시 2차 인증의 필요성 정보보안을 위하여 각종 정보자산에 대한 2차 인증은 반드시 필수로 적용되어야 할 보안 대비책이며, 이를 통하여 각종 정보자산에 대한 해킹 위협으로 부터 안전해질 것이다. ZDNet Korea 2019.12.4 펜타시큐리티, 웹방화벽에 2차 인증 도입 남경문 펜타시큐리티 기획실장은 "관리자 인증 강화는 세계적인 추세이고, 특히 보안 제품의 경우 고성능뿐만 아니라 강력한 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