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alid RATE_LIMIT option. Check .baro_auth 현상: Feb 7 07:59:09 eactive sshd(pam_baro_auth)[29657]: Invalid RATE_LIMIT option. Check .baro_auth 원인: Secret file인 .baro_auth 파일의 내용 중 RATE_LIMIT 설정값이 잘못 설정되어 있는 경우 발생. 조치: 제한 횟수(1 제한 시간(1 의 설정 값을 확인. ▶ BaroSolution/오류 메시지 2024.12.03
Failed to update secret file .baro_auth[error message] 현상: Feb 7 07:59:09 eactive sshd(pam_baro_auth)[29657]: Failed to update secret file .baro_auth[error message] 원인: secret file을 변경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 조치: secret file을 변경하지 못한 이유는 error message를 확인. ▶ BaroSolution/오류 메시지 2024.12.03
Secret file .baro_auth changed while trying to use one-time authentication key 현상: Feb 7 07:59:09 eactive sshd(pam_baro_auth)[29657]: Secret file .baro_auth changed while trying to use one-time authentication key 원인: 일회용 인증키를 사용하는 동안 비밀 파일 .baro_auth가 변경된 경우 발생. 조치: 다시 로그인을 시도. ▶ BaroSolution/오류 메시지 2024.12.03
Failed to secret file read .baro_auth 현상: Feb 7 07:59:09 eactive sshd(pam_baro_auth)[29657]: Failed to secret file read .baro_auth 원인: Secret file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 조치: Secret file의 존재여부를 확인. ▶ BaroSolution/오류 메시지 2024.12.03
sqlcpr.h:24:10: fatal error: oratypes.h: No such file or directory 현상 : /app/oracle/product/12.2.0.1/db_1/precomp/public/sqlcpr.h:24:10: fatal error: oratypes.h: No such file or directory #include 원인 : Pro*C 컴파일 시 makefile에 oratypes.h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설정하지 않아서 발생 조치 : Pro*C 컴파일 시 makefile에 oratypes.h 파일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인 "$(ORACLE_HOME)/rdbms/public"를 추가 예) ORAINCDIR=$(ORACLE_HOME)/precomp/public -I$(ORACLE_HOME)/rdbms/public ▶ Tuxedo/오류 메시지(Tuxedo) 2024.12.03
/usr/include/stdio.h 파일에서 오류 현상 : 라인 56, 열 12에 /usr/include/stdio.h 파일에서 오류가 생겼습니다 # include ...........1 PCC-S-02015, 포함하고 있는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라인 33, 열 10에 /usr/include/string.h 파일에서 오류가 생겼습니다 #include .........1 원인 : Pro*C 에서 빌드할 때 환경 파일인 pcscfg.cfg 파일에 gcc 버젼에 맞는 include 경로를 설정되지 않아서 발생 조치 : gcc 버전을 확인($ gcc -v)한 후 pcscfg.cfg 파일의 sys_include 의 맨 뒷부분에 확인 된 gcc 버젼의 include 경로인 "/usr.. ▶ Tuxedo/오류 메시지(Tuxedo) 2024.12.03
/usr/include/sys/cdefs.h 파일에 구문 오류 현상 : [tuxedo@baropam lib]$ make -f svrinit_nx.mk /app/oracle/product/12.2.0.1/db_1/bin/proc ireclen=1024 oreclen=1024 sqlcheck=semantics userid=baropam/baropam select_error=no UNSAFE_NULL=YES MODE=ORACLE DBMS=V8 release_cursor=yes include=/home/tuxedo/include iname=svrinit_nx.pc Pro*C/C++: Release 12.2.0.1.0 - Production on 금 10월 18 09:18:27 2024 Copyright (c) 19.. ▶ Tuxedo/오류 메시지(Tuxedo) 2024.12.03
LIBWSC_CAT:1332: ERROR: Unable to set mode to NONBLOCK 현상 : 013501.pcobt01!?proc.612.2.-2: LIBWSC_CAT:1332: ERROR: Unable to set mode to NONBLOCK 013501.pcobt01!?proc.612.2.-2: LIBWSC_CAT:1085: ERROR: Unable to get reply to unsolicited message request 원인 : 비동기식(tpacall) 서비스 호출 시 최대 호출할 수 있는 50개 세션을 초과한 경우에 발생. 조치 : 비동기식(tpacall) 서비스 호출 시 최대 호출할 수 있는 50개 세션을 초과하지 않토록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보완. ▶ Tuxedo/오류 메시지(Tuxedo) 2024.12.03
LIBTUX_CAT:4055: ERROR: No service 'TMS' in group 'KFAS_XA1' 현상 : 131703.379.DEVAPP01!BBL.30779.2650355456.0: gtrid x0 x6302b4e9 x1: LIBTUX_CAT:4055: ERROR: No service 'TMS' in group 'KFAS_XA1' 원인 : Oracle DB에 XA 관련 작업을 하지 않은 경우에 발생 조치 : Oracle DB에 XA view 테이블을 생성하고 계정에 대한 권한을 설정해야 함. ▶ Tuxedo/오류 메시지(Tuxedo) 2024.12.03
LIBTUX_CAT:1402: WARN: tpforward tpacall service wdiq242qs_p failure TPENOENT - no entry found 현상 : 154756.tas47!DISP01.34144852.1.0: gtrid x0 x6021096d x1205ebf: LIBTUX_CAT:1402: WARN: tpforward tpacall service wdiq242qs_p failure TPENOENT - no entry found 원인 : 서비스 내에서 전달하는 서비스(wdiq242qs_p)를 호출 할 때,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게나 서비스가 활성되지 않았을 때 발생. 조치 : tpforward 하는 서비스(wdiq242qs_p)가 비활성된 경우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 시킴. ▶ Tuxedo/오류 메시지(Tuxedo) 2024.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