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3단계 인증 보안SW 및 지문인식 OTP/출입/보안카드 전문기업

원격접속 11

정보자산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주목해야 할 것들

새해들어 한달도 지나지 않았는데, 사이버 공격이 밤낮없이 발생하고 있다. 방심한 사이를 틈타 눈 깜짝할 사이에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소중한 개인정보를 탈취해 간다. 더욱이 사이버 범죄자들은 날이 갈수록 체계적이고 지능화되어 조직화되는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다. 간단(느슨)한 구성에서 시작해 더 복잡(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느슨한 결합으로 이뤄진 플러그인 가능한 인증모듈(PAM,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 기반의 아키텍처는 예상치 못한 스파이크가 발생했을 때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자연스런 스케일링도 가능하다. 이런 아키텍처가 더 쉽게 진화할 수 있다. '아무 것도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로 보안 시스..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한 2차 인증 솔루션 도입 시 검토사항

2차 인증은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로그인-ID 및 비밀번호(지식기반 인증) 이외에 별도의 추가인증(소유기반/속성기반/행위기반/장소기반 인증)절차를 의미하며, 2 Factor 인증과 2 Channel 인증으로 구분한다. ​ ​ 1.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개념이 적용되어 있는지? ​ 2. 인증서버 방식인지, 모듈인증 방식인지? ​ 3. 통합인증인지 분산인증인지? ​ 4. 인증키 생성 및 검증 시 사용되는 키는 정적인지, 동적인지? ​ 5. 제한된 시간 내에 횟수 제한을 할 수 있는지? ​ 6. 적용 및 관리가 단순한지? ​ 7. 간단(느슨)한 구성에서 시작해 더 복잡(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할 수 있는지? ​ 8. 인증 폭주 시 인증 속도는 얼마나 저하되는지? ​ 9. 통신망을 ..

삼성, LG, MS 공격한 랩서스 해킹조직에 대한 대응방안 및 보안전략

기업 및 개인의 정보 유출에 대한 해킹 피해보도는 잊혀질 만 하면 계속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보다 근본적으로 해킹에 안전한 다중 인증을 사용하여 대응하여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이 서버, PC,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등에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한 다중 인증 솔루션을 도입한 이유이기도 하다.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어느 한 구간만 보안 강화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제는 모든 정보자산에 대한 다중 인증 솔루션의 적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보다 더 안전하게 정보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2차 인증 설정 시 타인에게 ID와 비밀번호 노출돼도 계정 접근 불가능" 타인이 로그인을 시도했다는 것은 결국 ID와 비..

기업 보안 담당자에게 보안 강화를 위해 권고하고 싶은 사항

"정적인 비밀번호, 서명, 사인, 지문, 안면, 홍체 등과 같은 패턴과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정적인 보안의 시대는 끝났고, 이젠 정적인 보안이 아닌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의 시대로!" 다중 인증(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는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인증 요소를 이용하여 본인 여부를 인증하는 것으로 비밀번호와 같이 해당 이용자만이 알고 있는 요소(지식기반), 하드웨어 토큰과 같이 해당 이용자만이 갖고 있는 요소(소유기반), 생체인식 정보와 같이 해당 이용자만의 고유 요소(속성기반), 어떤 인물의 반복된 행동이나 기기 사용 방식(행위기반), GPS나 이동통신과 같이 특정 장소(장소기반) 등에서 최소 2개 이상을 함께 사용하여 ..

정보자산의 로그인-ID/비밀번호가 유출이 되어도 대안이 있느냐?

2차 인증 설정 시 타인에게 ID와 비밀번호 노출돼도 계정 접근 불가능 타인에 의한 로그인 시도 시 2차 인증 관련 메시지로 이를 인지하고 비밀번호 변경 등 대응 가능 ​ 타인이 로그인을 시도했다는 것은 결국 ID와 비밀번호 같은 계정정보가 노출돼 있다는 의미다. 이에 즉시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동일한 계정정보를 쓰는 타사 서비스 역시 모두 찾아 변경했다. 2차 인증을 활성화해둔 덕분에 타인의 무단 접근 시도를 인지해 차단하는 등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던 셈이다. ​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ID와 비밀번호는 안전하지 않다. 이미 다크웹에서는 쇼핑몰, 온라인 게임 사이트, 기업 이메일 등 수많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유출된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가 유통되고 있다. 공격자는 이렇게 획득한 ID와 비밀번호를 해..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3단계 인증 솔루션을 도입해야 하는 이유

"정보자산의 로그인-ID/비밀번호가 유출이 되어도 대안이 있느냐?" 1.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ㆍ인증을 위한 OTP 등을 활용한 2단계 인증체계 적용 가장 중용한 것은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인증을 위한 OTP 등을 활용한 2단계 인증체계를 설정"하는 것임. 2단계 인증은 정보자산에 로그인 시 아이디/비밀번호 외에 도 추가적인 인증(2차 인증) 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정 정보가 유출된 것만으로는 공격자는 이를 악용할 수 없음. 2차 인증 적용(예: ID/PW + OTP), 일정 횟수(예: 5회) 이상 인증 실패 시 접속 차단 및 인증수단을 특정하지는 않고 있으나, 지식기반.소유기반.특정기반 인증 수단 중 서로 다른 방식에 속하는 인증수단 2개를 조합해서 사용해야 함..

가장 쉽게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해킹, 악성 이메일 유형과 2단계 인증 로그인 대응법

악성 이메일은 고객센터, 지인, 사회이슈 등 사칭해 사용자 속이고 악성 행위 시도 2단계 인증(2차 인증, 추가인증) 로그인, 보안 소프트웨어 사용 및 주기적인 업데이트 등 기본 보안수칙 준수 필요 사이버 공격자는 개인의 PC나 기업 시스템에 침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다. 특히, 이메일을 이용한 방식은 사이버 공격자가 특별한 경로를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다. 악성 이메일을 이용한 사이버공격은 목적과 형태 역시 다양하다. 단순히 첨부 파일이나 링크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것부터 시작해 특정 서비스를 사칭해 사용자의 ID/PW를 탈취하기도 한다. 특히 사회적 이슈를 이용해 악성 이메일을 수신한 사용자가 의심 없이 이를 열어보도록 하는 방식도 많이 쓰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

크리덴셜 스터핑에 당하지 않으려면 웹사이트와 앱에 다중인증의 활용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적용해야 할 솔루션

크리덴셜 스터핑은 기존에 다른 곳에서 유출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여러 웹사이트나 앱에 대입해 로그인이 될 경우 개인정보나 자료를 유출하는 방법이다. 복잡한 것을 싫어하는 많은 사람들이 모든 웹사이트나 앱에서 같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것을 노린 방법으로, 최근 본지가 보도한 대로 홈플러스나 스타벅스 등에서 크리덴셜 스터핑을 이용한 공격으로 실제 피해를 입은 사건이 늘고 있다. 글로벌 보안기업 아카마이에 따르면 2017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총 18개월 동안 금융 업계를 대상으로 일어난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35억 건에 달해 고객 개인정보와 금융정보가 위협에 노출됐다. 크리덴셜 스터핑에 당하지 않으려면 우선 사용하는 웹사이트나 앱마다 서로 다른 아이디와 패스워드..

현재, 정보자산(H/W, S/W)에 대한 보안의 잘못된 적용의 변화가 필요

현재, 정보자산(H/W, S/W)에 대한 정보자산의 보안은 반대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를 출입하는 1층에 Lock이 있고, 실제 집의 출입문에는 Lock이 없는 누구나 맘대로 들낙거릴 수 있는 오픈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구조로는 도둑이 1층 출입문만 통과하면 실제 집의 출입문에는 열러 있는 구조라 얼마든지 이집 저집 다니면서 생명과 재산에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다. 생명과 재산을 그나마 보호 받을려면 1층 출입문 뿐만 아니라 각 집마다 출입문에 Lock이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 결론은 간편성과 편리성만 내세우면 보안은 그만큼 허술하며, 이로 인한 댓가는 매우 혹독할 것이다. 정보자산의 로그인-ID/비밀번호가 유출이 되어도 대안이 있느냐? 정보자산에 대한 2차 인증(추가 인증) 솔루션인 B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