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누리아이티

정보자산의 보안강화를 위한 다계층 인증SW (BaroPAM) 전문기업.

▶ BaroSolution/기술문서 200

위험에 빠진 ID 보안, 조직의 90%가 피해 경험, 2차 인증 구현이 최선의 방안

"2차 인증을 구현하는 것이 사고의 영향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 [지티코리아] 지난 1년 동안 조직의 90%가 ID 관련 사고를 경험했으며, 84%는 직접적인 비즈니스 영향을 받았다.  ID 관련 사고는 오늘날의 헤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장식하고 있다.  클로록스(Clorox), MGM, 시저스(Caesars)는 소셜 엔지니어링의 희생양이 되었고, 23앤드미(23andMe)는 자격 증명 스터핑이라는 해킹 방법의 결과로 침해를 당했으며, 유나이티드헬스(UnitedHealth)는 2차 인증(추가 인증)이 부족했다.  이러한 기업들의 막대한 침해로 뉴스거리였지만 최근 지난 12개월 동안 응답자의 10%만이 ID 관련 사고가 없었다고 한다.   ID 이해 관계자의 84%는 사고가 비즈니스에 직..

망분리된 공공기관서 잇달아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망분리도 무용지물

"망분리" 했다고 해커들의 침투를 100% 막을 수 없다는 걸 인정해야만 하는 때가 도래했다. 이 시대에는 피해를 줄이는 게 보안의 가장 큰 임무였다.   이게 어디까지 갔냐면, "사이버 공격자들이 이미 네트워크에 들어와 있는 걸 상정하고 보안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가 보안의 명제가 됐다. [데이터넷] 5월 한달간 보안사고는 끊이지 않았다. ​매일이 사고의 연속으로, ‘역대급’, ‘최대규모’라는 수식어가 붙는 사고가 연이어 일어났다. ​망분리도 무용지물 ··· 공공기관 개인정보 비상​법원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2년간 해킹을 당해 1TB 이상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이 사고에서 주목해야 할 점이 몇 가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망분리의 맹점..

데이터 유출 원인의 68%가 인적요소 및 보안인식 미비.실수로 인하여 발생

최근 사이버 공격은 취약한 S/W 공급망과 사회공학적 기법의 피싱을 이용하여 침투하고, 데이터를 유출하면서 협박하는 다중갈취 공격을 진행한다. 데이터 유출 원인의 68%가 인적요소와 관련된 것으로, 보안 인식이 미비한 사용자 또는 정교한 속임수에 넘어간 사용자에 의하여 발생한 보안 사고인 것으로 보인다. S/W 취약점을 포함한 서드파티를 이용한 공격은 15%, 랜섬웨어와 파괴형 공격이 32%를 차지 했으며, 잘못된 구성에 의한 공격이 28%에 달한다. 이는 공격자가 보안 방어막을 뚫고 침투하는  것이 아니라 쉽게 침투할 수 있는 취약점, 잘못된 구성, 허술(단순)한 비밀번호, 사용자의 실수를 악용하여 침투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특히, 데이터 침해 사고의 초기 침투의 40% 가량이 도난당한 ..

2차 인증 도입의 필요성 및 도입 시 검토사항

요즘 들어, 하루가 멀다 하고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이 때를 가르지 않고 밤낮없이 발생하고 있다. 방심한 사이를 틈타 눈 깜짝할 사이에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소중한 개인정보를 탈취해 간다. 더욱이 사이버 범죄자들은 날이 갈수록 체계적이고 지능화되어 조직화되는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처음부터 완전한 보안 시스템은 없으며, 느슨한 구성에서 시작해서 더 견고한 보안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날로 지능화되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무엇 보다도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한 시기다.  1. 도입의 필요성 "정보자산의 로그인-ID/비밀번호가 유출이 되어도 대안이 있느냐?" 첫번째, 보안 강화를 위하여 사용자 식별ㆍ인증을 위한 OTP 등을 활용한 2단계 인증 체계 적용2차 인증(..

보안 솔루션의 적용 방식

정보자산에 대한 보안솔루션의 적용 방식은 Gateway(+Proxy), Sniffing, Agent, LKM, PAM 방식 등이 있다.  ■ Gateway(+Proxy) 방식 Gateway(+Proxy) 방식은 접속하기 위한 통로를 별도로 설치한 후 사용자가 해당 통로를 통해서만 접근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에 진입하기 위해서 반드시 톨게이트를 거쳐 통행료 징수를 위한 체크를 하듯이 서버나 네트워크, DB에 접속, 로그인하거나 로그인 한 후에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Gateway를 거치도록 구성하여 모든 로그인과 철저하게 통제하는 방식이다. 중앙집중식으로 중앙화 되어 있는 Gateway(+Proxy) 방식은 별도의 서버(안전성을 위해 이중화 구성 필요)를 ..

2차 인증(추가 인증)이란?

2차 인증은 정보자산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로그인-ID 및 비밀번호(지식기반 인증) 이외에 별도의 추가인증(소유기반/속성기반/행위기반/장소기반 인증)절차를 의미하며, 2 Factor 인증과 2 Channel 인증으로 구분한다. 1. 2 Factor 인증 "지식기반 인증"인 로그인-ID/비밀번호 인증에 다른 요소 즉 소유기반 인증 및 생체인증 요소를 추가한 인증 기법으로 서비스 채널과 인증 채널이 하나로 결합된 형태를 말한다. ▶다양하고 광범위한 적용, 관리가 단순하고 운영비용 절감.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지역이나 통신장애에 영향을 받지 않아 서비스 보장. ▶모듈인증 방식은 사용자 정보 동기화가 필요 없으며, 통신 및 인증서버 미사용으로 서비스 보장. ▶인증폭주 시 부하분산으로 인증속도 보장..

본인인증이란?

본인인증은 크게 지식기반 인증(What I know), 소유기반 인증(What I have), 속성기반 인증(What I am), 행위기반 인증(What I do), 장소기반 인증(Where you are) 등 5가지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1. 지식기반 인증(What I know)​흔히 사용하는 ID와 비밀번호 등을 들 수 있으며, 계정정보 수정 시 '어릴 때 키우던 강아지 이름은' 등의 질문을 설정하는 것 역시 지식기반 인증에 해당한다.​2. 소유기반 인증(What I have)​사용자가 가진 OTP, 스마트폰, 보안카드, 보안 토큰 등을 들 수 있으며, 오늘날 스마트폰과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흔히 사용한다.​3. 속성기반 인증(What I am)​지문이나 안면, 정맥, 홍채 같은 사람의 고유한 특..

VPN 겨냥한 비밀번호 분사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방안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는 별도의 사설 전용망 없이도 암호 기술에 기반한 터널링(tunneling) 프로토콜(통신규약)을 이용해 지점간을 연결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원거리 통신망(WAN)을 구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솔루션을 의미한다. 요즘 들어, 하루가 멀다 하고 해커들의 사이버 공격이 때를 가르지 않고 밤낮없이 발생하고 있다.방심한 사이를 틈타 눈 깜짝할 사이에 시스템을 마비시키거나 소중한 개인정보를 탈취해 간다.더욱이 사이버 범죄자들은 날이 갈수록 체계적이고 지능화되어 조직화되는 양상으로 진화하고 있다.VPN도 마찬가지로 점점 더 노골적인 공격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회사들은 외부에서 접속하는 우리 직원과 남의 직원을 구분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

오픈 소스로 셀프 호스팅이 가능한 온라인 채팅 서비스인 Mattermost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정적인 비밀번호, 서명, 사인, 지문, 안면, 홍체 등과 같은 패턴과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정적인 보안의 시대는 끝났고, 이젠 정적인 보안이 아닌 매번 변하거나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성 또는 휘발성 같은 동적인 보안의 시대로!"Mattermost는 파일 공유, 검색, 통합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로 셀프 호스팅이 가능한 온라인 채팅 서비스이다.  단체와 기업을 위한 내부 채팅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대부분 그 자체를 슬랙과 마이크로소프트 팀즈의 오픈 소스 대안이다. Mattermost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BaroPAM의 일회용 인증키로 대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말도 많고 딸도 많고, 보안에 취약한 정적인 비밀번호를 BaroPAM 같은 동적보안 솔루션의 일회용 인증키로..

서버 보안 강화를 위하여 RADIUS 연동한 통합 계정관리 및 통합인증 방안

서버의 보안 강화를 위하여 RADIUS를 연동하여 중앙 집중화 방식으로 통합 계정관리 및 통합 인증관리를 손쉽게 구성할 수 있다. 1.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 플러그인 가능한 인증 모듈)이란? PAM은 Linux/Unix 시스템에서 중앙집중적인 인증 매커니즘을 지원하는 것이다.  게다가 시스템의 기본적인 인증 기법을 제공하여 이것을 사용하면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 뿐만 아니라 시스템 관리자들이 인증을 유연성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전통적으로 시스템 자원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프로그램들은 내장된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오랫동안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확장성이 부족하고 매우 복잡하다.  그렇기 때문인지 이..